시인이 본 꽃·나무·열매·풀 (182)
감자꽃을 따다
― 손택수
주말농장 밭고랑에 서 있던 형이 감자꽃을 딴다
철문 형, 꽃 이쁜데 왜 따우
내 묻는 말에
이놈아 사람이나 감자나 너무 오래 꽃을 피우면
알이 튼실하지 않은 법이여
꽃에 신경 쓰느라 감자알이 굵어지지 않는단 말이다
평소에 사형으로 모시는 형의 말씀을 따라 나도 감자꽃을 딴다
꽃 핀 마음 뚜욱 뚝 끊어낸다
꽃시절 한창일 나이에 일찍 어미가 된 내 어머니도
눈 질끈 감고 아까운 꽃 다 꺾어냈으리라
조카애가 생기고 나선 누이도
화장품값 옷값을 말없이 줄여갔으리라
토실토실 잘 익은 딸애를 등에 없고
형이 감자꽃을 딴다
딸이 생기고 나선 그 좋은 담배도 끊고
술도 잘 마시질 않는다는 독종
꽃 핀 마음 뚜욱 뚝 분지르며
한 소쿠리 알감자 품에 안을 날들을 기다린다
트레킹을 하다가 감자꽃을 일러주면 농촌 경험이 없는 사람들은 놀란다. 감자도 꽃이 피냐고 묻기까지 한다. 사실 감자만이 아니라 모든 식물은 꽃을 피운다. 꽃은 바로 그 식물의 생식기로 꽃을 피워야 수정을 통해 열매를 맺기 때문이다. 당연히 감자도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는다. 권태응의 동시에 나오듯이 파보나마나 ‘자주 꽃 핀 건 / 자주 감자’이고 ‘하얀 꽃 핀 건 / 하얀 감자’이다.
다만 농사꾼들에게 감자꽃과 그렇게 해서 맺은 열매는 전혀 쓸모가 없다. 왜냐하면 덩이뿌리인 하지감자를 겨울 동안 보관했다가 이듬해 봄에 땅에 심기 때문이다. 감자를 심는 것은 꽃이나 열매를 보려는 게 아니라 뿌리에 달릴 새로운 감자를 얻기 위한 것이니 그렇다. 그러므로 농사꾼은 감자꽃이 피면 땅 속 감자알의 생육에 방해가 될 꽃을 다 따버린다. 그렇게 해야 꽃으로 가는 영양분이 감자알로 가 알을 더 굵게 하기 때문이다.
손택수의 시 <감자꽃을 따다>에서는 감자꽃을 따는 행위를 우리네 인생의 화려한 욕망을 끊어내는 것으로 파악한다. 시 속에서 화자가 주말농장에 갔던 모양이다. 거기서 감자꽃을 따고 있는 ‘철문 형’에게 ‘꽃 이쁜데 왜 따우’라 물었다. 그 형은 ‘사람이나 감자나 너무 오래 꽃을 피우면 / 알이 튼실하지 않은 법’이라 일러주며 ‘꽃에 신경 쓰느라 감자알이 굵어지지 않는’다고 설명까지 해준다. ‘평소에 사형으로 모시는 형의 말씀을 따라’ 화자도 감자꽃을 땄단다.
여기서 화자는 감자꽃을 따는 행위를 ‘꽃 핀 마음 뚜욱 뚝 끊어’내는 것으로 인식한다. ‘꽃 핀 마음’이 무엇일까. 화자는 어머니, 누이 그리고 형의 삶을 통해 그 의미를 부여한다. ‘꽃시절 한창일 나이에 일찍 어미가 된 내 어머니’는 자식들을 위해 ‘눈 질끈 감고 아까운 꽃 다 꺾어냈’다. 누이는 ‘조카애가 생기고 나선’ ‘화장품값 옷값을 말없이 줄여갔’다. ‘토실토실 잘 익은 딸애를 등에 없고’ 감자꽃을 따고 있는 형은 ‘딸이 생기고 나선 그 좋은 담배도 끊고 / 술도 잘 마시질 않’았다. ‘담배를 끊을 만큼 잔인한 사람과는 상종을 하지 마라’는 임어당의 말을 빌리지 않더라도 어찌 생각하면 형은 담배를 끊을 만큼 독종이리라.
일찍 자식들을 낳은 어머니는 당신의 청춘을 다 바쳐 자식들을 키워냈다. 화자에게 조카애를 낳은 누이 역시 자신의 외모를 꾸미기보다 그 돈을 아껴 조카애를 키워냈다. 딸을 위해 담배를 끊고 술을 줄인 형도 마찬가지이다. 자식들을 위한 마음에 셋은 자신의 개인적 욕망을 포기한 것이리라. 그렇다면 ‘꽃 핀 마음’이 무엇인지 짐작할 수 있다. 그 개인적인 ‘꽃 핀 마음’을 끊어내야 자식들에게 돌아갈 것이 더 많으리라. 마찬가지로 감자꽃을 따줘야 영양분이 감자알에게 가지 않겠는가. ‘꽃 핀 마음’ - 감자꽃은 보기에 화려하다. 그러나 그보다 중요한 것은 보이지 않는 자식들의 미래, 바로 감자알이다. 부모로서 자식을 위해서라면 그 ‘꽃 핀 마음’을 꺾는 일은 그리 어렵지 않다.
그러니 화자 역시 ‘꽃 핀 마음 뚜욱 뚝 분지르며 / 한 소쿠리 알감자 품에 안을 날들을 기다린다’고 하지 않았겠는가. 겉으로 드러나 화려한 꽃은 잠시 피었다가 진다. 그러나 보이지 않는 땅 속 감자알은 겉모습은 화려하지 않지만 농부에게 돌아갈 결실이다. 그 결실을 위해 잠시 화려하게 핀 감자꽃을 아예 따버리는 행위 - 바로 우리네 부모들의 자식 사랑이 아니겠는가. 나아가 본질을 위해 비본질을 없애는 것, 바로 삶의 지혜이며 우리 모두가 실천해야 할 덕목이 되지 않을까.
주말농장 감자 밭고랑에서 있었던 자그마한 일 - 감자꽃을 따는 행위를 통해 삶의 교훈을 전하는 시인. 화자의 어머니나 누이 그리고 형이 보여주는 삶의 지혜이자 실천덕목이다. ♣
'시인이 본 꽃·나무·열매·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준철의 <개망초 2> (0) | 2018.12.13 |
---|---|
유홍준의 <작약> (0) | 2018.12.13 |
박제영의 <능소화> (0) | 2018.12.12 |
손순미의 <칸나의 저녁> (0) | 2018.12.12 |
류인서의 <가시연꽃> (0) | 2018.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