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이 본 꽃·나무·열매·풀 (224)
개나리
― 이은상
매화꽃 졌다 하신 편지를 받자옵고,
개나리 한창이라 대답을 보내었소
둘이 다 봄이란 말은 차마 쓰기 어려워서
호주로 이민을 가 살던 어느 한국인이 고향을 찾은 길에 개나리 묘목을 몇 그루 가져갔단다. 호주의 집 마당에 심은 개나리는 그곳의 날씨에 잘 적응했단다. 그런데 몇 해가 지나도록 가지와 잎은 1년 내내 풍성하게 자랐지만 꽃을 볼 수 없었단다. 나중에 안 사실 - 겨울을 나지 않은 개나리는 꽃을 피우지 않는단다. ‘개나리’는 용담목 물푸레나무과의 낙엽 관목으로 우리나라 전역의 산기슭 양지에서 많이 자란다. 겨울을 나고 4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노란색 꽃이 잎보다 먼저 1∼3개씩 피는데 꽃이 질 때쯤이면 잎도 나온다. 번식은 주로 가지를 휘묻이하거나 꺾꽂이로 하는데 병충해와 추위에 잘 견디므로 관상용, 생울타리용으로 많이들 심는다.
이은상의 시조 <개나리>에는 ‘매화’와 ‘개나리’가 등장한다. ‘매화(梅花)’는 장미과의 갈잎 중간키 나무로 꽃을 강조한 이름으로 열매를 강조하면 ‘매실나무’가 된다. 잎보다 꽃이 먼저 피는 매화는 봄을 알리는 꽃이라 하는데, 추운 날씨에도 굳은 기개로 피는 하얀 꽃과 은은한 향기가 좋아 예부터 정원에 많이 심어 키웠다. 이 매화가 질 무렵에 개나리가 피기 시작하고 봄은 절정에 이르게 된다. 그러니 매화는 봄을 알리고 개나리는 봄을 맞는 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시조에 등장하는 ‘매화’와 ‘개나리’ - 화자는 ‘매화꽃 졌다 하신 편지를 받’았단다. 매화가 졌으니 아쉬운 마음에 보낸 편지이니 공감을 한다거나 아니면 아쉬움을 달랠 말을 보내야 하지 않겠는가. 그런데 화자는 그런 말없이 그냥 ‘개나리 한창이라 대답을 보내었’단다. 무슨 뜻일까. 답은 종장에 있다. 매화나 개나리 ‘둘이 다 봄이란 말은 차마 쓰기 어려워서’ 그랬단다. 즉, 매화가 졌으니 아쉬우리라, 그러나 매화가 졌다 하여 봄이 가버린 것은 아니다, 지금 막 개나리가 한창 피어나고 있으니 봄은 절정을 맞고 있다, 매화는 봄을 알리고 개나리는 봄을 맞는 꽃이니 아직 봄이다, 결코 매화가 졌음을 아쉬워할 필요가 없다는 뜻이 아니겠는가.
봄을 알리는 매화가 졌다 하여 슬퍼하거나 아쉬워하지 말라 - 바로 개나리가 한창이기 때문이다. 이를 매화나 개나리 ‘둘이 다 봄이란 말은 차마 쓰기 어려워서’ 그냥 개나리가 한창이란 대답을 보냈다는 시인 - 3장 6구 45자 내외라는 시조의 형식적 특질에 딱 맞추어 개나리가 한창인 봄날을 이렇게 아름답게 그려낸다. 매화라는 말에 은은한 매향(梅香)이 퍼지는 듯하더니 문득 노란 개나리가 눈앞에 그려진다.
어쩌면 이런 해설이 이은상의 시조 <개나리>에는 사족이 될지도 모른다. ♣
'시인이 본 꽃·나무·열매·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병기의 <냉이꽃> (0) | 2019.03.27 |
---|---|
김미희의 <유채꽃> (0) | 2019.03.26 |
도종환의 <목백일홍> (0) | 2019.03.15 |
김승기의 <동자꽃> (0) | 2019.03.01 |
신술래의 <달개비> (0) | 2019.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