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이 본 꽃·나무·열매·풀

도종환의 <목백일홍>

복사골이선생 2019. 3. 15. 08:09

시인이 본 꽃·나무·열매· (223)



목백일홍

) --> 

도종환

) --> 

피어서 열흘

아름다운 꽃이 없고

살면서 끝없이

사랑 받는 사람 없다고

사람들은 그렇게 말을 하는데

) --> 

한여름부터 초가을까지

석 달 열흘을

피어 있는 꽃도 있고

살면서 늘 사랑스러운

사람도 없는 게 아니어

) --> 

함께 있다 돌아서면

돌아서서 다시 그리워지는

꽃 같은 사람 없는 게 아니어

) --> 

가만히 들여다보니

한 꽃이 백일을 아름답게

피어 있는 게 아니다.

) --> 

수없는 꽃이 지면서 다시 피고

떨어지면 또 새 꽃봉오릴 피워 올려

목백일홍나무는 환한 것이다.

) --> 

꽃은 져도 나무는 여전히

꽃으로 아름다운 것이다.

) --> 

제 안에 소리 없이 꽃잎

시들어가는 걸 알면서

온몸 다해 다시 꽃을 피워내며

아무도 모르게 거듭나고

거듭나는 것이다.

) --> 

배롱나무는 부처꽃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 중국이 원산이지만 우리나라 여러 곳에 이 나무가 보호수로 지정되어 있을 만큼 우리 역사와 함께한 나무이다. 여름날에 붉은색, 분홍색 혹은 흰색 꽃을 피우는데, 꽃이 한 번에 피고 지는 것이 아니라 여러 날에 걸쳐 번갈아 피고 져서 백 일 즉 오랜 동안 펴 있는 것처럼 보여 백일홍이라고 부른다. ‘나무백일홍’, ‘목백일홍혹은 백일홍나무라 불리는데, ‘백일홍나무란 이름이 발음대로 배기롱나무로 변했다가 지금의 배롱나무가 되었다고 한다.


도종환의 시 <목백일홍>은 바로 이 배롱나무의 생태를 거듭나기로 읽고 있다.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이라고, ‘피어서 열흘 / 아름다운 꽃이 없듯이 우리들은 살면서 끝없이 / 사랑 받는 사람 없다고들 말한다. 그러나 목백일홍처럼 한여름부터 초가을까지 / 석 달 열흘을 / 피어 있는 꽃도 있고평생을 살면서 늘 사랑스러운 / 사람도분명 있으리라. 함께 있다 돌아서면 / 돌아서서 다시 그리워지는 / 꽃 같은 사람 없는 게 아니.

그런데 이름이 나무백일홍’, 목백일홍이라지만 가만히 들여다보니 / 한 꽃이 백일을 아름답게 / 피어 있는 게 아니다.’ 배롱나무의 꽃은 백일 동안 피어 있는 게 아니라 수없는 꽃이 지면서 다시 피고 / 떨어지면 또 새 꽃봉오릴 피워 올린다. 그렇기에 목백일홍나무는 환한 것이리라. 꽃은 져도 나무는 여전히 / 꽃으로 아름다운 것이다.’ 왜냐하면 먼저 핀 꽃이 지면 다음 꽃이 새로 피어 언제나 환하게 목백일홍나무를 밝히기 때문이다.

먼저 핀 꽃이 질 때면 새로운 꽃이 피어나 오랜 동안, 백일 동안 나무를 환하게 밝히는 목백일홍의 꽃 - 시인은 이를 제 안에 소리 없이 꽃잎 / 시들어가는 걸 알면서 / 온몸 다해 다시 꽃을 피워내는 것으로 파악한다. 그렇기에 목백일홍나무를 아무도 모르게 거듭나고 / 거듭나는 것으로 인식한다. 맞다. 목백일홍은 꽃이 피어 백일 동안 시들지 않고 피어 있는 게 아니다. 먼저 핀 꽃이 지고 새로운 꽃이 피어나고 다시 시들면 또 새 꽃이 피어나고…… 꽃은 그렇게 백 일 동안 계속 피어나며 목백일홍나무를 환하게 밝힌다.


시인은 목백일홍의 생태를 정확하게 알고 있다. 꽃이 피어 백 일 동안 지지 않는 게 아니라, 꽃이 피고 지고 다시 새 꽃이 피고…… 시인은 꽃나무의 이런 생태를 거듭나기라고 한다. 그렇기에 꽃이 져도 새로 핀 꽃으로 나무는 여전히 아름다울 수 있으리라. 나무는 제 안에 소리 없이 꽃잎 / 시들어가는 걸 알면서온몸 다해 다시 꽃을 피워낸다. 그렇게 아무도 모르게 거듭나고 / 거듭나기에 꽃나무는 백 일 동안 화하게 아름다움을 유지할 수 있지 않겠는가.


목백일홍의 생태를 정확하게 알고 이를 거듭나기로 인식한 시인. 먼저 핀 꽃이 시들 때면 온 몸을 다해 다시 꽃을 피워내는 목백일홍의 열정, 어쩌면 시인은 목백일홍을 통해 삶의 열정은 물론 끊이지 않는 시 정신까지 배웠으리라. 거기에 목백일홍처럼 거듭나기를 통해 오랜 동안 식지 않는 사랑을 꿈꾸는지도 모른다.


'시인이 본 꽃·나무·열매·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미희의 <유채꽃>  (0) 2019.03.26
이은상의 <개나리>  (0) 2019.03.16
김승기의 <동자꽃>  (0) 2019.03.01
신술래의 <달개비>  (0) 2019.02.27
마경덕의 <게발선인장>  (0) 2019.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