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이 본 꽃·나무·열매·풀

신미균의 <홀아비바람꽃>

복사골이선생 2018. 8. 21. 02:19

시인이 본 꽃·나무·열매· (54)







홀아비바람꽃

) --> 

신미균

) --> 

울음을 입 안에 넣고

, 딱 소리나게 씹다가

) --> 

네가 있었던

들판에 붙였다

) --> 

귀뚜라미도 몇 마리

갖다 붙이고

빗방울도 몇 개 갖다

붙였다

가물가물한 저 강과 둑과

강 위를 날아가는 새도

갖다 붙였다

) --> 

그 뒤로

아무도 없는

캄캄한 밤이

또 찾아왔다

) --> 

) --> 

홀아비바람꽃은 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속의 여러해살이풀로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강원도 산지에 분포하고 있다. ‘바람꽃중에서 꽃대가 한 개씩 올라와 피는 모습이 홀아비 같다 하여 홀아비란 이름이 붙여졌다는데, 서구에서 부르는 이름 아네모네(Anemone)’바람또는 바람의 딸이란 뜻으로 그리스 신화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신미균의 시 <홀아비바람꽃>은 바로 그 꽃을 객관적상관물로 하여 사랑의 추억을 노래하고 있다. 시적 화자는 사랑을 잃고 그 사랑을 그리워하고 있다. 사랑을 잃어 슬프지만 소리 내어 울지 못한다. 왜 그런지는 모르지만 그 울음을 입 안에 넣고 / , 딱 소리 나게 씹었단다. 슬픔이 크면 그렇게 되는 모양이다. 그렇게 씹은 울음을 네가 있었던 / 들판에 붙였다고 한다. 어쩌면 추억의 장소인 들판에서 목놓아 울었다는 말이 된다.


그 들판에는 울음소리만 들리는 것이 아니다. ‘귀뚜라미도 몇 마리’, ‘빗방울도 몇 개’, ‘가물가물한 저 강과 둑’, ‘강 위를 날아가는 새가 보이고 들린다. 울음소리에 붙인 귀뚜라미, 빗방울, , , 새 들은 와 함께 나누었던 추억일 것이다. 그런데 그 추억들이 참 슬프고 외롭다. 왜냐하면 그렇게 목놓아 울었지만 그 뒤로 / 아무도 없는 / 캄캄한 밤이 / 또 찾아왔기 때문이다. ‘아무도 없는 / 캄캄한 밤이라니…… 그만큼 희망이 없는 것이다.


그런데 왜 시 제목이 홀아비바람꽃일까. 시 속 화자의 모습이 바로 홀아비바람꽃이 아닐까. 너를 잃고 혼자가 된 화자, 너와의 추억을 씹으며 문득 눈에 뜨인 꽃, 마침 홀아비바람꽃이고, 화자뿐만이 아니라, 귀뚜라미, 빗방울, , , ……까지 홀아비가 되어버리는 느낌이다. 그러니 홀아비바람꽃을 본 적이 있는 나로서는 시를 읽으며 곧바로 시 속 화자에 동화가 되어 나까지 슬퍼진다.

홀아비바람꽃을 보며 사랑을 잃은 추억 씹기를 연상한 시인의 상상력이 탁월하다. ‘홀아비란 말에서 그런 상상은 누구나 할 수 있을 것이라 하겠지만, 그것이 추억 씹기로까지 나아가고 이어 주변 사물들까지 홀아비로 만드는 시인의 재주가 부럽다. 게다가 시가 참 깔끔하지 않은가.


사진출처 https://blog.naver.com/jwk2202/220684521171


'시인이 본 꽃·나무·열매·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영천의 <개구리밥>  (0) 2018.08.21
백승훈의 <금낭화>  (0) 2018.08.21
도종환의 <담쟁이>  (0) 2018.08.21
이승철의 <변산바람꽃>  (0) 2018.08.21
김관후의 <복수초>  (0) 2018.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