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이 본 꽃·나무·열매·풀

김영천의 <개구리밥>

복사골이선생 2018. 8. 21. 02:22

시인이 본 꽃·나무·열매· (56)





개구리밥

) --> 

김영천

) --> 

제 짧은 소견으로는

단 한 번도 땅에 지지하지 못한 뿌리를

목숨처럼 붙안고

수면 위를 떠 있습니다.

) --> 

더러는 함부로 흔들린다 하고,

더러는 그 뿌리를 알지 못한다 비난하지만

차라리 물이끼처럼 바위나 나무에

기생하지 않고

혼자 자유를 누리는 것입니다.

) --> 

물 밑 그 아래로 어떤 엄청난 비밀이

숨어 있는 것일까요?

밤하늘 까마득한 곳의 별 빛이나

밥풀꽃처럼

아주 작은 몸피라 하여도

오오, 무리 지어서는 온 늪을 채워 가는

저 깊은 푸르름이여.

) --> 

육탈한 영혼처럼

물여울조차 조용히 갈아 앉히며

내 그리움 몇 개도

그렇게 푸르게 흔들리고 있습니다.

) --> 

) --> 

개구리밥은 개구리가 사는 곳에서 자라는데 올챙이가 먹는 풀이라 하여 그런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물 위에 떠다니며 자라기에 부평초(浮萍草)라고도 한다. 잎 하나에 뿌리가 여러 개 달렸는데 겨울눈이 물 속에 가라앉아 겨울을 나고, 이듬해 봄에 물 위에 떠서 자란다고 한다. 호수나 얕은 개천에 자라지만 관상용으로 어항에 키우기도 한다.


김영천의 시 <개구리밥>은 물 위에 떠서 자라는 개구리밥의 생태를 기반으로 자유 그리고 그리움을 노래하고 있다. 그런데 첫 행이 특이하다. ‘제 짧은 소견으로는이라는 구절을 통해 시인이 전면에 등장하면서 자신의 생각에는 개구리밥은 이런 것이라고 미리 말하는 것이다. 혹자는 이렇게 시를 써도 되느냐고 물을지 모르지만, 이 또한 시적 기법이다. ‘~~~~이다와 같은 직설적인 표현과 함께 시인이 독자에게 직접 서술을 하는 기법이다.


시인이 파악한 개구리밥은 어떤 것일까. 땅에 닿은 적이 없는 뿌리를 목숨처럼 붙안고 / 수면 위를 떠있으며 결코 바위나 나무에 / 기생하지 않고 / 혼자 자유를 누리며 아주 작은 잎이지만 무리 지어서는 온 늪을 채워가는 것이다. 혹자는 개구리밥을 보고 함부로 흔들린다거나 물에 떠 있으니 그 뿌리를 알지 못한다고 비난을 하겠지만, 오히려 시인은 결코 다른 생물 혹은 사물에 빌붙지 않는 독립심을 기생하지 않음이라며 그것이 곧 자유라 한다.


여기서 시인은 물 밑 그 아래로 어떤 엄청난 비밀이 / 숨어 있는 것일까요?’라 의문을 제기하지만 곧이어 오오란 감탄사와 함께 저 깊은 푸르름이여라 감탄한다. 언뜻 보면 시인의 눈에 비친, 시인의 짧은 소견에 따른 개구리밥의 생태라 할 것이다. 그러나 마지막 연에서 시인의 내면이 드러난다. ‘육탈한 영혼처럼 / 물여울조차 조용히 갈아 앉히며 / 내 그리움 몇 개도 / 그렇게 푸르게 흔들리고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 연을 읽고 나면 다시 4연의 의미를 알게 된다. ‘밤하늘 까마득한 곳의 별 빛이나 / 밥풀꽃처럼 / 아주 작은 몸피라 하여도즉 나의 그리움이 아무리 작은 것이라 하여도, ‘무리 지어서는 온 늪을 채워 가는’ - 너를 향한 그리움으로 모든 것을 채우는 저 깊은 푸르름인 것이다. 나아가 개구리밥처럼 내 그리움 몇 개그렇게 푸르게 흔들리고 있다는 것이다. 맞다. 시인은 간절한 그리움을 이렇게 표현하는 것이다.



'시인이 본 꽃·나무·열매·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안나의 <모과>  (0) 2018.08.21
박노빈의 <진달래>  (0) 2018.08.21
백승훈의 <금낭화>  (0) 2018.08.21
신미균의 <홀아비바람꽃>  (0) 2018.08.21
도종환의 <담쟁이>  (0) 2018.08.21